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공무원 직급별 월급과 연봉 총정리 (2025년 기준)

by 윈디딩 2025. 4. 23.

1. 공무원 급여 체계는 어떻게 구성될까?

공무원 급여는 기본급 + 각종 수당으로 구성됩니다.
기본급은 직급(호봉)에 따라 책정되며, 수당에는 직무수당, 가족수당, 명절수당, 정근수당, 초과근무수당 등이 포함됩니다.
따라서 같은 직급이라도 수령액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

2. 9급 공무원 월급 및 연봉

  • 9급 1호봉 기준 기본급: 약 1,769,000원
  • 각종 수당 포함 실수령액: 약 210~230만 원
  • 연봉(12개월 + 보너스 등): 약 2,800만 원 내외

※ 근무 경력에 따라 매년 호봉이 오르며, 실수령액도 증가합니다.


3. 7급 공무원 월급 및 연봉

  • 7급 1호봉 기준 기본급: 약 2,065,000원
  • 수당 포함 실수령액: 약 250~270만 원
  • 연봉: 약 3,300만 원 내외

7급부터는 업무 강도가 높아지고 승진을 위한 경쟁도 치열해집니다.


4. 5급 사무관 월급 및 연봉

  • 5급 1호봉 기준 기본급: 약 2,749,000원
  • 수당 포함 실수령액: 약 400만 원 이상
  • 연봉: 약 5,500만 원~6,000만 원

5급부터는 중간 간부로 분류되며 정책 기획, 행정 책임 등이 주요 업무입니다.


5. 고위공무원단(1~3급) 월급 및 연봉

 

직급 기본급 연봉(수당 포함 예상)
3급 약 3,650,000원 약 7,000만 원
2급 약 4,160,000원 약 8,000만 원
1급 약 4,730,000원 약 9,000만 원 이상

고위공무원단은 각 부처의 국장, 실장급으로 행정의 핵심 위치를 담당합니다.
성과급 등 별도 수당에 따라 실수령 연봉은 1억 원에 근접할 수 있습니다.


6. 교사 및 경찰관, 소방관 월급도 다를까?

교사, 경찰, 소방 등 특수직 공무원은 별도 봉급표를 적용받습니다.

  • 신규 초등교사(1호봉): 약 200~230만 원 실수령
  • 순경(1호봉): 약 210~230만 원
  • 소방사(1호봉): 약 210~240만 원

※ 직무위험수당, 특수업무수당, 교직수당 등 포함 시 실수령액은 높아질 수 있습니다.


7. 고위 공직자 월급: 장차관, 대통령은?

 

직책 연봉(2025년 기준)
대통령 약 2억 4,000만 원
국무총리 1억 8,000만 원
장관급 1억 3,000만 원
차관급 1억 1,000만 원

※ 세전 기준, 실수령액은 세금과 복지항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
마무리

공직자 급여는 직급별로 명확히 체계화되어 있으며, 안정적인 소득 구조와 다양한 복지 혜택이 장점입니다.
연봉 외에도 연금, 건강보험, 연차 보장 등으로 많은 이들이 공무원을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