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대항력 있는 임차인 뜻과 낙찰자가 인수해야 할 보증금 계산법

by 윈디딩 2025. 5. 19.

경매에 입찰할 때 가장 조심해야 하는 부분은 바로 임차인의 존재입니다.
특히 “대항력 있는 임차인”이 존재할 경우, 낙찰자는 보증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인수해야 할 수 있습니다.

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항력의 정확한 개념부터, 낙찰자가 부담할 수 있는 금액 계산 방법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

✅ 대항력 있는 임차인이란?

“대항력”이란, 부동산 소유자가 바뀌더라도 임차인이 기존의 임대차 계약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.

즉, 낙찰자가 새로운 집주인이 되어도, 임차인은 계약기간 동안 계속 살 수 있고, 보증금도 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.


✅ 대항력 성립 요건

구분 요건 설명
주택 전입신고 + 실제 거주 주민등록상 전입 + 실질 거주가 모두 충족되어야 함
상가 사업자등록 + 실제 점유 사업자등록 후 실제로 영업하고 있어야 함
 

📌 참고: 이 요건이 근저당권 설정일보다 먼저 갖춰졌는지가 중요합니다.


✅ 대항력 있는 임차인이 있을 때 낙찰자의 책임은?

👉 배당요구 여부에 따라 인수 여부가 달라집니다.

상황 낙찰자의 부담
대항력 O + 배당요구 O 배당에서 덜 받은 금액만 인수
대항력 O + 배당요구 X 보증금 전액 인수 가능성 있음
대항력 X 보증금 인수 없음 (명도 가능)
 

💰 보증금 인수 금액 계산법 (실전 예시)

📌 조건

  •   임차인 보증금: 1억 원
  •   전입일자: 2018년 1월 10일
  •   확정일자: 2018년 1월 12일
  •   선순위 근저당: 1억 6천만 원
  •   낙찰가: 1억 8천만 원
  •   임차인 배당요구 O

👉 계산 과정

  1. 낙찰가에서 선순위 채권(근저당) 1억 6천만 원을 배당
  2. 남은 금액: 2천만 원
  3. 임차인은 보증금 1억 중 2천만 원만 배당받고, 8천만 원은 못 받음

이 미배당 8천만 원이 낙찰자가 인수할 가능성이 있는 금액


❗ 배당요구 안 하면?

  •   임차인이 배당요구를 하지 않으면, 배당 자체를 받지 못합니다.
  •   그러나 대항력은 살아있기 때문에 → 보증금 전액을 낙찰자가 인수해야 할 수 있습니다.

🧾 꼭 확인해야 할 서류

서류명 주요 확인 포인트
전입세대열람 내역 임차인 전입일, 세대원 유무
임대차계약서 계약일, 보증금, 확정일자
현황조사서 실제 점유 여부
매각물건명세서 배당요구 여부, 대항력·우선변제권 명시
 

✔️ 실전 요약

항목 설명
대항력 요건 전입신고 + 실거주 (또는 사업자등록)
인수 판단 기준 대항력 여부 + 배당요구 여부
인수 금액 계산 보증금 – 배당금 = 낙찰자 인수액
가장 위험한 경우 대항력 O + 배당요구 X → 전액 인수 가능성
 

💡 경매 전문가의 조언

  •   “대항력”이라는 단어 하나로 수천만 원의 손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  낙찰 전에 꼭 임차인의 전입일, 점유 여부, 배당요구 여부를 확인하세요.
  •   초보자라면 권리분석 컨설팅이나 법무사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